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 MDB Handle
- DrawRectangle
- 시
- GDI+
- Json.NET
- NUnit
- Winform
- 공공 데이터 포털
- TDD
- C# 파일 암/복호화
- delegate
- eventhandler
- sqlite3
- Excel Cell Format
- Cell Border Style
- DrawEllipse
- 디자인 패턴
- 경기도 버스정보시스템
- 경기도 버스
- 버스 API
- eventargs
- MDB Connect
- solid
- C# MDB
- 객체지향
- c#
- MVC
- WPF
- JSON
- MDB Select
- Today
- Total
White Whale Studio
허브, 허브 하는데, 과연 허브가 뭘까... 이제 살펴보자. 바로 요놈이 허브 되시겠다. 일반적으로 UTP 케이블을 꽂을 수 있도록 여러개의 포트가 함께 있는 장비라고 보면 되겠다. 포트 갯수에 따라서 몇 포트 허브다.. 라고 이야기한다. 허브도 이더넷, 토큰링용 으로 나뉘고 속도에 따라서도 10Mbps, 패스트(100Mbps) 허브가 있다. 도대체 이 녀석은 무슨 역할을 하는 걸까? 허브에 접속된 모든 PC들이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해준다. 멀티포트 리피터(Multiport Repeater)로써, 전달자 역할을 수행 허브를 선택할때는 랜카드의 속도나 통신 방식에 맞춰서 구매하는 것은 당연하겠지? 위에 역할에서 멀티포트 리피터를 좀더 살펴보자면, 리피터의 기능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
예전 모뎀을 쓰던 시절에만 해도 이 랜카드라는 물건은 정말 너무 어려운 물건이었다. 자세히 보면 Ethernet이라고 적혀있었던 랜카드를 단순히 꽂기만 하면 다 되는 건줄 알았던 그 때는 정말 아무것도 모르던 때였다. 연결 방식에도 여러가지 방식이 있지만, 보통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연결방식은 이더넷 방식이라고 한다. 요즘은 Plug&Play 또는 P&P 방식이라고 해서 네트워크에 쉽게 연결을 할 수 있는데, 과거에는 많은 노가다가 필요했다고 카더라 통신이 밝혔다.[by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랜카드에도 PC용, 노트북용, 프린터 포트용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주로 사용하는 건 역시 PC용이고 본 것도 이것밖에 없다. 랜카드를 선택할 때 또하나 고려할 점은 PC의..
가정이나 학교와 같은 환경에서는 개개의 PC에 아이피가 미리 정해져서 관리하는 사람이 PC 사용자 각각이 되어야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IP분배가 광역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학교 강의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벤더들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IP를 고정으로 해두고 관리하려고 하면, 가끔이지만 발생하는 PC의 이동이라던지, 회사에서의 부서 이전과 같은 큰 이동이 있는 경우에는 IP의 재분배 / 관리가 보통일이 아니게 된다. 이러한 경우 편리성을 더하게 위해 나온것이 바로 DHCP!! DHCP는 모든 IP를 가지고 있다가 이 DHCP 서버가 다른 PC들의 요청을 받게 되면 자신이 관리하는 주소 중에 하나를 배포하는 방식으로, 자동이다!! IP를 설정하는 부분에서 가끔 IP를 확인하려고 네트워크 정보를 보다보면 TCP..